Skip to main content

누가복음 소개

시대적 배경

누가복음은 전통적 견해에 따르면 A.D. 61-63년경, 바울이 가이사랴에서 2년간 구금되어 있던 시기(58-60년) 또는 로마에서의 첫 번째 투옥 기간(60-62년)에 기록되었습니다. 가이사랴는 로마 총독이 거주하는 팔레스타인의 행정 수도이자, 다양한 민족들이 거주하는 국제적인 항구 도시였습니다. 이 시기는 복음이 유대 지역을 넘어 이방인들에게 확산되기 시작한 초기 단계로,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을 직접 목격한 증인들이 여전히 많이 생존해 있었습니다.

반면 현대 학계에서는 예루살렘 성전 파괴(70년) 이후인 A.D. 80-85년경에 기록되었다고 봅니다. 이 견해에 따르면, 누가복음은 소아시아나 그리스 지역의 이방인 그리스도인 공동체를 대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시기는 복음이 지중해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던 때였습니다. 헬라-로마 문화권에서 기독교의 보편성을 입증해야 할 필요가 있었고, 성전 파괴 이후 새로운 신학적 이해가 요구되던 시점이었습니다.

저자와 기록 목적

누가는 "사랑을 받는 의사"로 언급되는 이방인 출신의 의사였으며(골 4:14), 바울의 충실한 선교 동역자였습니다. 그는 높은 교육을 받은 지식인으로, 당시 최고 수준의 그리스어 문체를 구사했으며, 의학 용어와 항해 용어에 정통했습니다. 사도행전의 "우리" 구절들(a)^{(a)}을 통해 그가 바울의 2차, 3차 선교여행과 로마 여행에 동행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골로새서 4:14
  1. 사랑을 받는 의사 누가와, 또 데마가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바울이 가이사랴에서 구금되어 있는 동안, 누가는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을 직접 목격한 증인들을 만나 인터뷰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그는 헬라-로마 문화권의 지식인들에게 기독교의 역사적 신뢰성과 보편성을 증명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예수님을 만민의 구주로 제시하여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예수님의 특별한 관심을 강조했으며, 기도, 성령의 역할, 기쁨과 찬양의 주제를 부각시켰습니다.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이라는 두 권의 연속된 작품을 통해 누가는 예수님의 생애부터 초대교회의 확산까지를 하나의 구원사적 관점에서 서술했고, 이를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유대인을 넘어 모든 민족에게 확장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a) 사도행전의 "우리" 구절들

사도행전의 저자인 누가가 3인칭 복수("그들")에서 1인칭 복수("우리")로 서술 시점을 바꾸는 구절들을 말합니다.

  • 행 16장 - 2차 선교여행 중 트로아에서 빌립보까지
  • 행 20장 - 3차 선교여행 중 빌립보에서 밀레도까지
  • 행 21장 - 밀레도에서 예루살렘까지
  • 행 27장 - 바울의 로마 여행 (가이사랴에서 로마까지)

이 구절들은 누가가 바울의 선교 동역자였으며, 특히 바울의 후기 사역과 로마 여행에 동행했다는 전통적 견해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로 여겨집니다.